Question
click below
click below
Question
Normal Size Small Size show me how
H-86 조선시대 상업과 무역활동
Question | Answer |
---|---|
조선 전기 상업 구조-?????:무본억말 정책을 써서 산업의 근본인 농업을 일차적으로 장려하고, 상업은 말업으로 간주하여 어느 정도 견제하였다. 이는 상업을 없애기 위함이 아니라 농민들이 농토를 버리고 상업에 뛰어드는 것을 막기 위함이었다 | 농본억상책 |
조선 전기 상업 구조-????의 운영:시전은 한 상점에서 한 가지 물품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독점판매권을 부여하고, 그 대신 국가에 ???를 바치고 국역의 형태로 궁중과 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조달할 의무가 있었다. 물가와 도량형도 ???에서 관할하여 폭리를 막음으로써 시장 경제와 통제경제의 혼합형을 추구하였다, 16세기 이후로 명주, 종이, 어물, 모시, 삼베, 무명을 파는 여섯 개 상점이 가장 번성하여 이를 ???이라 불렀다 | 공랑세, 경시서, 육의전, 관허상업 |
조선 전기 상업 구조-유통경제 수단:국가에서는 닥나무 종이돈인 ??와 구리돈인 ????를 발행하였으나 도시를 제외한 시골에서는 실물가치가 있는 무명을 화폐대용으로 많이 사용하여 이를 ??라고 불렀다 | 저화, 조선통보, 포화, |
조선 전기 상업 구조-??와 ??:???에 의존하던 지방의 상거래가 15세기 말부터는 전라도 농민들이 잉여생산품을 읍에 가져와 판매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이를 ?? 혹은 ??이라 하였는데 시간이 갈수록 ??가 확대되면서 정기시로 발전하였다. | 장시와 장문 장시 |
조선 전기 상업 구조-대외무역:조선왕조는 의식주의 자급자족이 가능했으므로 외국과의 교역의 필요성을 별로 느끼지 못하였으나 자급자족이 어려운 일본과 여진족이 교역을 원하였으므로 대외무역을 허용하였다 일본과는 동래에 ??을 통해 여진과는 국경에 설치한 무역소인 ????를 통해 교역하였다 | 왜관, 책문후시 |
조선 전기 상업 구조-??:국가의 허용범위를 넘어선 상행위로서 주로 사상들의 상업형태였다 | 난전 |
조선 후기 상업 구조-??의 성장:17세기 이후 상업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공인과 사상이 크게 활약하였으며, 이들 중 일부는 독점적 상인인 ??로 성장하였다 | 도고 |
조선 후기 상업 구조-도고의 성장-??:정부의 관수품은 막대한 양을 다루기 때문에 이에 대해 공인은 특정 물건에 대해 독점력을 갖게 되었고 도고로 성잘할 수 있는 유리한 조건을 갖추었다 | 공인 |
조선 후기 상업 구조-도고의 성장-??: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고 상업에 종사하는 난전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상행위를 벌일 수 있었다. 시전상인의 ????으로 한때 위축되기도 하였으나 정도 때 이를 철패시켜(????)성장이 가속화되어 일부는 도고로 성장하엿다(??,??,??) | 사상, 금난정권, 신해통공, 만상, 내상, 송상 |
조선 후기 상업 구조-대외무역-대청무역:청나라와는 공무역(??-??-??개시)-사무역(??-??후시)을 모두 행하였다 | 경원, 회령, 중강, 책문, 중강 |
조선 후기 상업 구조-대외무역-대일무역:일본과는 ???이 중심이엇는데 동래에 위치한 ??개시가 일본과의 ??? 중심지였다. 무역량이 감소하는 추세였고 조공에 의한 ??무역이었다. | 공무역. 왜관개시, 제한 |
조선 후기 금란전권 문제:시전이 가진 본래적 특권이라기 보다, 조선 후기 상업발전과 더불어 성장한 비시전계 사상층인 난전과의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고 ????이 정부와 결탁하여 확보한 강력한 독점상업특권이다 전선 후기에는 ??이 본격적으로 전개되면서 금난전권은 무의미해졌고 정조 때 ???을 제외한 금난전권이 폐지되어 난전이 합법화되었다 (????) | 시전상인, 난전, 육의전, 신해통공 |
어용상인-??:비교적 값비싼 필묵, 금-은-동제품 등과 같은 정밀한 세공품을 보자기에 싸서 들고 다니거나, 질빵에 걸머지고 다니며 판매하였다. | 보상 |
어용상인-??:나무그릇-토기 등과 같은 비교적 조잡한 일용품을 상품으로 하여, 지게와 지고 다니면서 판매하엿다 | 부상 |
사상-???:서울 부근의 송파, 이현, 칠패, 누원 등 시장을 상대로 하는 중간도매상을 말한다 | 중도아 |